코딩을 배우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듣게 되는 플랫폼 중 하나가 바로 GitHub(깃허브)입니다. 소스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, 여러 명이 협업할 수 있게 도와주는 버전 관리 플랫폼이죠. 오늘은 깃허브 사용법의 기초를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GitHub란 무엇인가요?
GitHub는 Git이라는 버전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웹 기반 코드 저장소입니다. 개발자는 GitHub를 통해 소스코드를 저장, 공유, 협업할 수 있으며, 프로젝트 변경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2. GitHub 시작하기
- 회원가입: github.com에 접속하여 무료 계정을 생성합니다.
- Git 설치: 로컬에서 사용하려면 Git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. (공식 사이트: https://git-scm.com/downloads)
- GitHub Desktop: 명령어가 익숙하지 않다면 GitHub에서 제공하는 데스크톱 앱도 유용합니다.
3. 저장소(Repository) 만들기
저장소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뜻합니다.
- GitHub 홈페이지에서 New repository 클릭
- 저장소 이름 설정 (예:
my-first-repo
) - 공개/비공개 여부 선택
- README 파일 생성 여부 선택
- Create repository 클릭
4. Git 기본 명령어 (터미널 사용)
git init
: Git 저장소 초기화git clone [주소]
: 원격 저장소 복제git add .
: 변경된 파일 스테이징git commit -m "메시지"
: 커밋 (변경 이력 저장)git push origin main
: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
5. GitHub에 코드 올리기
- 로컬 폴더에서
git init
으로 Git 시작 - 파일을 추가하고
git add .
git commit -m "첫 커밋"
으로 저장- GitHub 저장소 주소와 연결: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사용자이름/저장소이름.git
git push -u origin main
으로 코드 업로드
6. 협업 기능
GitHub는 협업에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
- Fork: 다른 사람의 저장소를 복사해 내 계정에 저장
- Pull Request: 변경사항을 원래 프로젝트에 반영 요청
- Issues: 버그나 개선 사항에 대해 논의
- Actions: 자동화(CI/CD) 도구와 연동
7. GitHub 페이지로 웹사이트 만들기 (보너스)
정적 웹사이트를 무료로 배포할 수 있는 GitHub Pages도 매우 유용합니다.
- 저장소 이름을
사용자이름.github.io
로 설정 - index.html 파일을 업로드
- Settings → Pages → 소스(branch) 선택 후 저장
- 잠시 후
https://사용자이름.github.io
로 접속 가능
깃허브 사용법은 초반에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한 번 익히면 협업과 버전 관리가 훨씬 쉬워집니다. 위에서 소개한 기본 사용법을 따라하며 직접 실습해보세요. 개발자의 성장 과정에서 GitHub는 최고의 동반자가 되어줄 것입니다.